요즘은 계속되는 장마로 하루에도 몇번씩 비가 오다 안오다 변덕스러운 날씨가 계속되고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상청 예보는 정확도가 떨어지기로 유명해서 신뢰도가 많이 떨어진 상태죠.

     

    8월초에 장마가 끝난다는 기상청의 예보와는 다르게 6월 24일에 시작된 장마는 11일 현재까지 49일동안 진행되고 있습니다. 틀릴수는 있지만 너무 차이가 심한 일기예보에 불신이 극에 달한 상황입니다.

     

     

     

     

    태풍 장미 예보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처럼 전국적으로 많은량의 비가 올줄 예측하지 못하였죠. 일명 오보청이라는 악명과 함께 기상청을 떠나 다른 정확한 예보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그렇게 떠오르고 있는곳이 노르웨이 기상청입니다. 노르웨이 기상 앱 YR을 사용하면 노르웨이 기상청에서 정보를 받아와 편리하게 날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틀 전인 9일을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기상청은 오후 9시에 서울에서 비가 내릴확률 80%, 예상 강수량 40~69mm로 예측했습니다. 반면 노르웨이 기상앱 YR은 서울의 예상 강수량이 2mm라고 예보했습니다. 결과는 노르웨이 기상청의 압승이었습니다. 서울에 비가 거의 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심한 차이가 나는 이유는 각 기상청에서 받아오는 정보의 출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의 경우 기상 위성인 천리안위성 2A호에서 받는 자료를 분석해서 발표하는 반면 해외 각국에서는 각각의 위성자료를 사용합니다.

     

    또한 예보 횟수의 주기가 다른것도 이유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6시간 단위로 예보하지만 YR은 1시간 단위로 예상 강수량을 예보해줍니다. 단순한 산수적으로 계산해봐도 6배는 더 정확할 것입니다.

     

     

     

     

    Yr 앱

    그럼 스마트 폰에서 편리하게 노르웨이 기상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YR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실행시키면 위치 정보를 사용할지 물어봅니다. 저는 앱을 사용하는 동안 허용을 눌러주었습니다.

     

     

     

     

     

     

     

     

     

     

    메인화면에서는 간단명료하게 현재 일기 예보를 보여줍니다. 영어로 되어있긴 하지만 간단한 단어들이여서 어렵지않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좌측 상단부터 현재 시간대와 온도(체감온도), 바람, 간략한 예보 (저녁에는 흐리고 내일 아침에 비소식이 있다), 최고, 최저기온이 표시되어있습니다.

     

     

     

     

    여기에서 재미있는 기능이 우측으로 화면을 스와이프 하면 시간대별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때 해당하는 기상에 따라 화면이 바뀝니다. 비도 내리고 해도 나오고 그 시간대에 해당하는 하늘을 그대로 재현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직관적으로 원하는 시간의 날씨를 알 수 있습니다.

     

     

     

     

    sky 옆에 table 탭으로 이동하면 시간대별 기상예보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Hourly 버튼을 누르면 1시간 단위로도 표시됩니다. 아침에 집밖을 나서기 전에 이 Table 탭만 확인해도 하루 날씨를 예측하기 쉬울것 같습니다.

     

     

     

     

    마지막 그래프 탭에서는 온도와 강수량 기상 정보를 그래프로 시각화 해서 보여줍니다. 역시 깔끔하고 간결한 UI를 사용해서 직관적으로 정보를 읽을 수 있습니다.

     

     

     

     

     

     

     

     

     

     

    Around you 탭은 자외선 지수 정보가 표시되는 탭입니다. 예보와 큰 관련은 없으니 패스하고 맵 탭으로 넘어가겠습니다. 노르웨이 기준으로 한국은 해외이기 때문에 자세한 위치 설정은 어려운것 같습니다.

     

    저는 서울 끝자락에 위치하지만 이 앱 상으로는 너부대교 반경에 포함되어 있는것 같습니다. 위에 보이시는 이름들이 최소 지역 단위라고 보시면 됩니다. 서울 주변에는 구리, 성남, 너부대교, 고양, 장흥으로 구역이 나뉘어있습니다.

     

     

     

     

    그리고 하단 화살표를 눌러보면 시간대별 날씨 예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앱을 써본 결과 날씨 정확도도 물론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앱 UI 디자인이 참 보기 쉽게 잘 되어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몇일만 사용해서 익숙해지면 매우 편리한 앱이 될것 같습니다.

    반응형